kromatalk 님의 블로그

kromatalk 님의 블로그 입니다.

  • 2025. 3. 26.

    by. kromatalk

    목차

      요즘에는 다양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판매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영양•기능정보에는 제품에 함유된 비타민 성분의 표시량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mg, μg 과 같은 SI단위가 아닌 특정 영양성분에 IU, RAE, α-TE, DFE 과 같은 단위로 표시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단위들은 무엇이며 어떻게 이해하면 될지를 각 비타민의 단위에 따라 정리해 보았습니다.

       

      비타민 D μg 와 IU 단위

      비타민 D 보충제를 선택하거나 복용할 때, '마이크로그램(μg)' '국제 단위(IU)'라는 두 가지 단위가 사용됩니다. 이러한 단위의 의미와 상호 변환 방법을 이해하면, 적절한 복용량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마이크로그램(μg)과 국제 단위(IU)의 정의

      • 마이크로그램(μg):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로, 1μg 100만 분의 1그램에 해당합니다.
      • 국제 단위(IU): 특정 물질의 생물학적 효과를 표준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위입니다. 비타민 D의 경우, IU는 그 활성에 기반하여 측정됩니다.

      비타민 D의 단위 변환

      비타민 D의 경우, 1μg 40IU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두 단위 간의 변환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IU μg로 변환: IU 수에 0.025를 곱합니다.
      • μg IU로 변환: μg 수에 40을 곱합니다.

      권장 섭취량 예시

      일반적으로 성인의 비타민 D 권장 섭취량은 최대 15μg(600IU) 입니다. 이처럼 두 단위가 함께 표기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변환 방법을 이해하면 복용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라벨에서 μg 또는 IU 중 어떤 단위가 사용되었는지 확인하고, 필요 시 위의 변환 공식을 활용하여 정확한 복용량을 결정하세요. 과도한 비타민 D 섭취는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권장 섭취량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타민 A RAE 단위란? 쉽게 이해하기

      비타민 A의 양을 측정하는 단위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현재 국제적으로 RAE(Retinol Activity Equivalents, 레티놀 활성 당량) 단위를 사용합니다. 이는 다양한 형태의 비타민 A(레티놀, 베타카로틴 등)생체 이용률을 반영하여 변환된 값입니다.

      RAE 단위를 사용할까?

      비타민 A는 음식에서 레티놀(동물성)과 베타카로틴(식물성) 형태로 섭취됩니다. 그러나 베타카로틴은 체내에서 일부만 비타민 A로 변환되므로, 정확한 영양소 섭취량을 나타내기 위해 RAE 단위를 사용합니다.

      RAE 단위 변환 공식

      • 1 RAE = 1μg(마이크로그램) 레티놀
      • 1 RAE = 2μg 베타카로틴 (기름에 녹아 있는 형태)
      • 1 RAE = 12μg 베타카로틴 (일반 식품 속 형태, : 당근, 고구마)
      • 1 RAE = 24μg 기타 카로티노이드 (알파카로틴, 베타크립토잔틴 등)

      , 식물성 음식에서 섭취한 베타카로틴은 체내에서 비타민 A로 변환될 때 효율이 낮기 때문에 RAE 단위로 환산하면 섭취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IU(국제단위)와의 차이점

      과거에는 비타민 A **IU(International Unit, 국제 단위)**로 표기했으나, 흡수율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현재는 RAE로 변경되었습니다.

      • 1 IU 레티놀 = 0.3μg RAE
      • 1 IU 베타카로틴 = 0.05μg RAE

      따라서, 비타민 A IU 용량을 RAE로 변환해야 정확한 섭취량을 알 수 있습니다.

      소비자는 어떻게 이해하면 될까?

       RAE 단위는 비타민 A의 실제 체내 흡수량을 반영한 표기법입니다.
       레티놀(동물성) 1:1, 베타카로틴(식물성) 12:1로 변환됩니다.
       과거에 사용되던 IU와는 차이가 있으므로, 영양제 섭취 시 단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타민 E의 단위 mg α-TE 이해하기

      α-TE란 무엇인가요?

      α-TEAlpha-Tocopherol Equivalent의 약자입니다.
      , 비타민 E의 여러 형태를 생체 이용률 기준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비타민 E는 단일 성분이 아니라 여러 이성질체(알파, 베타, 감마, 델타 토코페롤 등)로 구성돼 있는데,
      그중 '알파-토코페롤(alpha-tocopherol)'이 가장 효과적이고 활성도가 높기 때문에,
      모든 형태의 비타민 E알파-토코페롤 기준으로 통일된 단위로 비교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α-TE입니다.

      mg α-TE 단위를 쓰나요?

      일반적인 mg 단위로 비타민 E를 표시하면,
      같은 양이라도 어떤 형태냐에 따라 효과가 달라져서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다른 형태의 비타민 E를 환산 기준으로 통일합니다:

      비타민 E 형태 생체활성 기준 α-TE로 환산
      알파-토코페롤 (천연형) 1.49 IU = 1 mg α-TE 기준값
      감마-토코페롤 10%~30% 효능 1mg = 0.1~0.3 mg α-TE
      합성 알파-토코페롤 (DL) 천연의 약 50% 1.1 IU = 1 mg α-TE

      , “mg α-TE”는 실제 몸에서 쓰이는 효과 기준으로 통일한 단위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소비자를 위한 쉬운 요약

      • 비타민 E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알파, 감마 등)
      • 그중 알파-토코페롤이 몸에 가장 효과입니다.
      • mg α-TE는 이 효과를 기준으로 통일한 단위입니다.
      • 같은 비타민 E라도 종류나 제조 방식에 따라 효과 차이가 나기 때문에,
        mg α-TE
        단위를 보면 실제로 몸에서 쓰이는 양을 기준으로 알 수 있습니다.

      예시로 이해해보세요

      • 천연 알파-토코페롤 15mg = 15 mg α-TE
      • 합성 비타민 E 30mg = 15 mg α-TE (효율이 절반 수준)

      , 같은 mg이어도 천연 vs 합성, 감마 vs 알파에 따라 실제 효과는 다릅니다.
      그래서 건강기능식품 라벨에서 “mg α-TE”로 표기된 제품은 더욱 정확한 정보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입니다.

       

      엽산의 ‘μg DFE’ 단위, 이게 뭘까요?

      엽산 제품이나 영양정보를 보면 종종 등장하는 단위가 바로 'μg DFE' 입니다.  풀어서 설명하자면 식이성 엽산 당량(Dietary folate equivalents: DFE)이며 이것은 엽산의 다양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을 설명하는 데 사용하는 측정 단위입니다.

      엽산은 여러 식품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고 다른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되는 B군 비타민입니다음식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엽산은 테트라하이드로폴산(THF) 형태로 신체에 쉽게 흡수됩니다. 엽산은 신체에서 사용되기 전에 THF로 전환되어야 하며, 이 전환이 항상 완료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실제 흡수 효율을 반영한 단위가 필요하며 최근 식약처에 고시된 건강기능식품공전에 따라 제시된 단위입니다.

      처음 보면 생소할 수 있지만, 알고 보면 아주 간단합니다!

       

      ‘μg’ ‘DFE’의 뜻

      용어 의미
      μg (마이크로그램) 100만 분의 1그램 (, 0.000001g)
      DFE (Dietary Folate Equivalent) 식이엽산당량을 뜻하며, 엽산의 실제 흡수 효율을 반영한 단위입니다.
       

      ‘DFE’라는 단위를 쓰나요?

      엽산은 섭취 형태에 따라 흡수율이 다릅니다.
      , 똑같이 1μg을 섭취해도 몸에 흡수되는 양은 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섭취량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DFE 단위를 도입한 것입니다.

       

      DFE 계산 공식 (간단 요약)

      섭취 형태 실제 DFE 환산 기준
      음식 속 천연 엽산 1μg = 1μg DFE
      보충제 엽산 1μg (식사 중 복용 시) = 1.7μg DFE
      보충제 엽산 1μg (공복 복용 시) = 2.0μg DFE

      ,

      • 같은 엽산이어도 보충제가 더 잘 흡수되고,
      • 공복에 먹는 보충제가 가장 흡수율이 높다는 뜻입니다.

      예시로 이해해 보기

      엽산 보충제 400μg을 공복에 먹었다면?
      400 x 2.0 = 800μg DFE
      실질적으로 800μg의 식이엽산을 섭취한 것과 같음

      시금치 등 채소에서 400μg 엽산을 섭취했다면?
      그대로 400μg DFE
      흡수율이 보충제보다 낮기 때문!

       

      실생활에서 기억할 포인트 3가지

      1. 엽산 보충제의 흡수율은 식품보다 높다
      2. 공복에 먹으면 더 많이 흡수된다
      3. ‘μg DFE’는 실제 흡수량을 반영한 단위로, 권장량 표기 시 더 정확한 표기입니다.

      건강기능식품 단위